var capabilities = ServerCapabilities.builder() .resources(false, true) // Resource support with list changes notifications .tools(true) // Tool support with list changes notifications .prompts(true) // Prompt support with list changes notifications .logging() // Enable logging support (enabled by default with logging level INFO) .build(); 1. reso..
1. MCP란 무엇인가?LLM 호스트(Claude Desktop, IDE 플러그인 등)와 도구(툴) 서버 사이의 JSON‑RPC 2.0 프로토콜툴 정의 (+JSON Schema)파라미터 타입·설명, 결과 타입 포함 → 호스트가 UI·검증 자동화전송(Transport)STDIO : 부모‑자식 프로세스 간 파이프SSE(Server‑Sent Events) : HTTP 스트림2. 프로젝트 골격📁 mcp-add ├─ build.gradle.kts # Kotlin DSL ├─ settings.gradle.kts └─ src └─ main/java/com/example/mcp ├─ AddTool.java # 툴 로직 └─ Main.java # 서..
몽고DB 기본 용어와 사용법 한눈에 보기1. 몽고DB란?몽고DB(MongoDB)는 문서 지향(Document‑Oriented) NoSQL 데이터베이스입니다. JSON과 유사한 BSON(Binary JSON)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해 스키마를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수평 확장(Sharding)과 고가용성(Replica Set)을 손쉽게 지원합니다.2. 몽고DB를 선택하는 이유특징설명스키마 유연성릴레이션 없이도 필드 추가·제거가 자유로워 빠른 프로토타이핑 가능수평 확장 용이데이터 분산(Sharding)으로 빅데이터도 처리풍부한 생태계Compass, Atlas, 다양한 드라이버(Node.js, Java, Python 등)트랜잭션 지원4.0 이후 멀티‑도큐먼트 ACID 트랜잭션 지원3. 핵심 용어 정리용어..

Redis는 무엇일까요?Redis는 In-memory Data Structure Store입니다. 이름이 좀 길고 어렵게 느껴지시나요? 하나씩 풀어보겠습니다.In-memory: 데이터를 디스크(하드 드라이브, SSD)에 저장하는 대신 **메모리(RAM)**에 저장한다는 뜻입니다. 메모리는 디스크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에 데이터를 읽고 쓰는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이것이 Redis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입니다.Data Structure Store: 단순히 키-값 형태의 데이터만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자료구조를 지원한다는 의미입니다. 문자열(String), 리스트(List), 집합(Set), 정렬된 집합(Sorted Set), 해시(Hash) 등 여러 형태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
1. MCP란 무엇인가?정의: LLM 애플리케이션이 외부 데이터·도구와 문맥(Context)을 주고받는 방법을 표준화한 오픈 프로토콜.배경: 각 AI 앱마다 API 연결 코드를 따로 짜야 하는 문제를 “한 번 통합‑여러 도구 연결” 패턴으로 단순화한다는 목표.주요 기능도구( Tools ) 호출 – LLM이 REST·DB·OS 명령 등 외부 동작 실행리소스( Resources ) – 파일/URL·스트림 형태 데이터 제공프롬프트( Prompts ) – 서버가 제공하는 템플릿 활용2. 아키텍처 ‑ Host / Client / Server계층역할특징Host데스크톱 앱(Claude Desktop 등) 속 컨테이너다중 Client 생성·수명 관리, AI 샘플링 조정, 보안 정책 강제ClientHost가 만드는 경량..

아래는 개발자가 Apache Kafka를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숙지해야 할 기본 개념들을 정리한 블로그 형식의 글입니다. 이 글에서는 Kafka의 정의부터 아키텍처, 주요 구성 요소, 데이터 전달 방식, 복제 및 고가용성 보장 메커니즘 등 Kafka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필요한 내용을 자세히 다룹니다.개발자를 위한 Apache Kafka 기본 개념 가이드최근 마이크로서비스, 빅데이터 및 실시간 데이터 스트리밍이 중요해지면서 Apache Kafka는 업계에서 필수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Kafka는 대용량의 실시간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하고, 여러 애플리케이션 간에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분산 이벤트 스트리밍 플랫폼(distributed event streaming platfor..
언리얼 엔진 오브젝트 관리: 패키지(UPackage)의 이해와 활용언리얼 엔진에서 모든 오브젝트는 메모리와 디스크 상에서 관리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엔진은 패키지(UPackage) 라는 단위로 오브젝트들을 묶어 관리합니다. 본 글에서는 언리얼 엔진의 패키지 개념과 이를 활용한 오브젝트 관리 기법을 중심으로, 코드 예제와 함께 설명합니다.1. 패키지(UPackage)란?1.1 개념 및 필요성패키지의 정의언리얼 엔진에서 패키지는 여러 UObject를 담을 수 있는 컨테이너 역할을 합니다. 모든 UObject는 반드시 어떤 패키지에 속하게 되며, 이 패키지를 통해 오브젝트의 저장, 로딩, 직렬화, 버전 관리 등이 이루어집니다.예를 들어, 게임 콘텐츠로 제작된 애셋은 "/Game" 폴더 아래의 패키지에 저장..
언리얼 엔진(Unreal Engine)에서의 가비지 컬렉션(Garbage Collection, GC)은 엔진이 동적으로 할당한 UObject 기반 객체들에 대해 메모리 누수를 방지하고, 사용하지 않는 객체들을 자동으로 정리해주는 중요한 메커니즘입니다. 아래에서는 언리얼 엔진의 가비지 컬렉션 개념, 동작 방식, 코드 예제, 그리고 사용 시 주의할 점 등을 자세하게 설명합니다.1. 가비지 컬렉션 개요UObject 기반언리얼 엔진의 가비지 컬렉터는 UObject를 기반으로 하는 객체만 관리합니다. 따라서, UObject에서 파생되지 않은 일반 C++ 객체는 가비지 컬렉션의 대상이 아니며, 별도의 메모리 관리가 필요합니다.자동 메모리 관리GC는 주기적으로 실행되어 더 이상 참조되지 않는 UObject 객체를 탐..
- Total
- Today
- Yesterday
- method Area
- 일급 객체
- 자바
- 도커
- react.js
- 스브링부트
- JAVA 프로그래밍
- Stack Area
- generated_body()
- unreal engjin
- 언리얼엔진5
- 코틀린
- RESTfull
- model context protocol
- JVM
- redis
- 스프링부트
- 코프링
- 언리얼엔진
- ai통합
- Java
- First-class citizen
- 타입 안전성
- vite
- springai
- cqrs
- 카프카 개념
- Heap Area
- MCP
- 디자인패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