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dis는 무엇일까요?Redis는 In-memory Data Structure Store입니다. 이름이 좀 길고 어렵게 느껴지시나요? 하나씩 풀어보겠습니다.In-memory: 데이터를 디스크(하드 드라이브, SSD)에 저장하는 대신 **메모리(RAM)**에 저장한다는 뜻입니다. 메모리는 디스크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에 데이터를 읽고 쓰는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이것이 Redis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입니다.Data Structure Store: 단순히 키-값 형태의 데이터만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자료구조를 지원한다는 의미입니다. 문자열(String), 리스트(List), 집합(Set), 정렬된 집합(Sorted Set), 해시(Hash) 등 여러 형태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
레디스를 이용한 락(Lock) 관리 레디스에서 락을 관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SETNX (Set if Not eXists)와 EXPIRE 명령어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분산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락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기본 락 알고리즘 락 획득: SETNX lock_key some_value 명령어를 사용하여 락을 획득합니다. 이 명령어는 lock_key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만 성공합니다. 락 유효시간 설정: 락을 획득한 후, EXPIRE lock_key timeout 명령어를 사용하여 락의 유효시간을 설정합니다. 락 해제: 작업이 완료되면, DEL lock_key 명령어를 사용하여 락을 해제합니다. 레디스 락의 특징 Atomic Operation..
- Total
- Today
- Yesterday
- 일급 객체
- ai통합
- RESTfull
- cqrs
- 언리얼엔진5
- 카프카 개념
- model context protocol
- 자바
- 언리얼엔진
- method Area
- Java
- springai
- JVM
- Heap Area
- vite
- 코틀린
- 디자인패턴
- redis
- unreal engjin
- generated_body()
- react.js
- 도커
- JAVA 프로그래밍
- First-class citizen
- 스프링부트
- MCP
- 타입 안전성
- 스브링부트
- Stack Area
- 코프링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